전체 글 (1140) 썸네일형 리스트형 [병원생활안내]병실 내 에티켓 및 서울아산병원 시설 안내 병원도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인 만큼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특히 환자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더 철저하게 지켜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오늘은 병실 내 에티켓과 서울아산병원 병동 내 시설 등 입원 시 꼭 알아야 하는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아산병원 병실 생활 안내 [간호사 호출 방법] 침대 머리 부분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호출 버튼을 이용합니다.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 때는 줄로 이어진 호출기를 환자의 곁에 두도록 합니다. [시트 및 담요 교환] 매일 오전 시트를 교환해주시는 분이 병실을 방문합니다. 이때 요청드리면 시트를 직접 교체해 주십니다. 이 시간 외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간호사에게 요청하여 시트를 받아 직접 교체합니다. 담요는 오물실 벽면에 있는 요청 리스트에 적어놓으면.. [병원 생활 안내]입원 환자 낙상 예방 수칙 입원을 하게 되면서 정말 많이 받는 안내가 바로 낙상 예방입니다. 병실, 화장실 등 어딜 가도 낙상 안내문이 붙여 있고, 별도로 낙상 안내문도 받게 되는데요. 몸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낙상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낙상 예방을 위해 지켜야 할 생활 수칙(성인) 환자가 침상에 있을 때는 양쪽 난간을 모두 올리고 침대 높이는 가장 낮은 상태로 합니다. 침대에서 내려올 때는 난간을 내린 후 보호자의 도움 하에 움직입니다. 이때, 환자가 보호자용 침대를 밟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휴지, 휴대폰 등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환자의 손이 잘 닿는 곳에 둡니다.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 때는 간호사 호출기를 환자의 옆에 두어 필요시 환자가 스스로 간호사 호출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휠체어에 앉거.. 서울 아산병원 상주 보호자 지침 및 코로나 검사(2021년) 코로나19로 인하여 입원 환자 및 보호자 관련 지침이 이전과는 많이 다릅니다. 입원 환자와 보호자는 외출할 수 없으며, 보호자는 1인만 가능합니다. 면회가 허용되지 않으며, 보호자 교대도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허용되지 않습니다. 보호자와 환자는 입원 전 코로나 검사를 받고, 검사 날짜와 이름,검사 기관명과 음성 결과가 적힌 메시지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입원병원에서 검사 시 하루 전, 타병원에서 검사 시 이틀 전까지의 검사만 유효) 입원 후에도 환자는 37.5도 이상 발열 시 코로나 검사(병실 방문하여 검사)를 받습니다. 보호자는 매일 오전 알림톡으로 오는 문진표를 작성해야 하며, 매일 체온을 확인합니다. 보호자의 체온이 37.5도 이상일 경우 퇴실조치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호자는 체온이 정상이어.. 서울 아산병원 입원 병실료 / 식대(2021년) 서울 아산병원 병실료 서울 아산병원의 병실은 VIP실부터 6인실까지 다양합니다. 2인실~6인실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가입되어 있는 실비보험이 있다면 실비도 보장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병실료는 병실에 따라 내/외과에 따라 73,070~1백만원 이상 다양하지만 건강보험 적용을 받으면 2인실 50%, 3인실 40%, 4인실 30%, 5~6인실 20%가 환자 부담금입니다. 즉, 위의 안내문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건강보험 가입 환자가 부담하는 금액입니다. 장기 입원 시 혜택이 있는 건지 확실치 않지만, 저같은 경우는 입원 16일째부터 병실료가 약간(2인실 1만원) 내려갔습니다. 병실 바꾸는 방법 워낙 환자가 많기에 병실 배정 시 원치 않는 병실을 배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운이 나쁘면 VIP실.. 포타슘(칼륨) 함량 비교, 저포타슘 식단 포타슘(칼륨) 정상 수치는 3.5~5.1입니다. 포타슘은 거의 모든 음식에 있으며, 신장의 기능이 정상적이라면 일반적인 식사로 수치가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일부 약물 치료로 인해 포타슘 수치가 정상보다 높다면 식품을 주의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포타슘(칼륨)이란? 포타슘(칼륨)은 신체의 여러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무기질 중 하나입니다. 세포의 삼투압과 수분 균형을 유지해주고, 근육의 수축과 이완 작용에 관여합니다. 혈액 중 포타슘 정상 수치는 3.5~5.1mmol/L입니다. 고포타슘혈증이란? 신장(콩팥)의 기능이 정상이면 일반적인 식사로 고포타슘혈증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일부 약물로 인해 혈중의 포타슘 농도가 상승하면.. 이전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