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51) 썸네일형 리스트형 [희곡]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등장인물과 시극의 역할 아기장수 용마산 전설 최인훈은 를 읽으면서 어딘가 낯익다는 생각이 들어 곰곰이 기억을 더듬어보니 '아기장수-용마산 전설'이 떠올랐다. 옛날 산 밑에 살던 어느 부부에게 용마가 태어나자, 이 사실이 알려지면 집이 망하고 모두 죽을 것이 두려워 아이를 맷돌로 눌러 죽였다는 비극적인 전설. 최인훈의 는 이 설화에 대한 이야기다. 따라서 그 결말이 비극적일 것임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가난한 부부에게 아이가 태어난다. 때에 맞춰 용마의 울음소리가 들리고 관가의 수색이 이어진다. 용마의 울음소리는 아이의 신통력과 비범성을 나타내며 절대자가 내세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이가 장수임을 알게 된 부모는 관가의 위협으로 아이를 자루로 눌러 죽이게 된다. 아이의 어미는 자살하고, 아비도 죽으.. [희곡] 미하일 불가코프, <조야의 아파트> 에서 아파트가 하는 역할 아파트가 보여주는 사회상 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 무대 배경을 조야의 아파트로 하고 있다. 즉, 공간 배경이 되고 있는 조야의 아파트는 제목이 되어야 할 만큼 작품 내에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공간은 모든 사건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집’이라는 것은 하나의 가정을 지칭하기도 한다. 가정이란 사회를 이루는 최소한의 집단으로 ‘작은 사회’이며 이는 결코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그대로 반영하고 보여주는 집단이다. 그러므로 ‘집’이라는 것은 사회상을 반영하는 공간이며, 동시에 사회상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에서 조야의 아파트도 그 사회상을 보여준다. 사회가 사회주의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서 아파트라는 공간도 그 책임이 달라지게 된다. 한 가정의 보금자리인 .. [희곡] 장 주네, <하녀들> 에서 하녀의 상징적 의미 처음 작품을 읽기 시작했을 때는 등장인물들이 횡설수설하는 게 같기도 하고 같기도 한 느낌이 들었다. 그렇지만 그것이 자매들끼리의 연기였다는 것을 알고서는 보다 더 편하게 볼 수 있었다.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녀인 두 자매가 연극을 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연극에서 클레르는 마담의 역할을 하고 솔랑주는 하녀이자 클레르의 역할을 한다. 마치 정신병원에서 정신과 치료를 하는 방법 중에 하나로 역할을 바꿔 연극을 해보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연극을 해 보는 데에는 그 사람의 심리 상태를 보다 더 확실히 아는 효과가 있다. 작품 속에서 클레르와 솔랑주는 역할을 바꾸어 연기를 함으로써 이들의 숨겨진 욕구와 광기를 여실히 보여준다. 클레르가 마담의 역할을 함으로써 클레르가 마담에 .. [희곡] 헤롤드 핀터, <생일 파티> 의 등장인물과 상징 줄거리 정말 불친절하게 느껴졌던 작품이다. 서로 말도 이상하게 하고 정신도 이상한 것 같고 나아가서는 인물들이 정말 하나의 인물로 존재하는 것인지 의심까지 간다. 어떤 집에 60대 부부가 살고 있다. 남편의 이름은 피티이이고 부인의 이름은 메그이다. 그리고 이 집에는 스탠리라는 30대 남자도 묵고 있다. 이 남자는 이 집에 꽤 오랫동안 묵었으며 메그는 스탠리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다. 이 애정을 남편 피티이도 알고 있으면서 질투 같은 감정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메그와 스탠리가 모자관계로 느껴질 정도이다. 또한 마지막에 스탠리가 납치당할 때 피티이가 “(목이 메어서) 스탠, 저 사람들이 시키는 대로 하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피티이도 스탠리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소설]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에서 자화상 찾기 내 인생의 전환기 20살, 풋풋하고 젊음과 활력이 넘칠 줄 알았던 시기였다. 대학 캠퍼스는 활기로 가득 차 있을 줄 알았고 웃음이 끊이지 않을 줄 알았다. 하지만 그것은 바람밖에는 안되었다. 는 내가 초등학교 때 독후감을 써오라는 숙제를 내줄 때마다 접했던 작품이다. 보통 독후감을 써오라는 숙제를 1년에 한 번씩 내주었기 때문에 1년이란 뜸을 들이고 읽었던 는 읽을 때마다 새로운 것을 느끼게 해 주었다. 내가 마지막으로 를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이 소설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읽어야 하는 소설이라는 것이었다. 아니, 어린이보다 어른을 위한 필독 도서였다. 순수함을 잃어버린 어른들을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나는 내가 그 어른이 될 것이라는 것을 미처 예상하지 못했.. 이전 1 ···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