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728x90

<햄릿>의 비극 요소와 카타르시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햄릿>의 비극 요소

 나는 <햄릿>을 읽기 힘들었다. 햄릿은 내가 다가서기에는 너무 말이 많았고(많은 사람들이 칭찬하는 그의 비유들이 사실 좀 버거웠다.), 많은 화가들이 그림으로 그려낸 오필리아는 속 편하게 말해주지도 않고 미쳐서 죽어버렸다. 아, 그렇다. 이 작품은 미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나온다. 제각기 종이 한 장 분량의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해 대는데 나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햄릿>이 비극의 고전으로써 타당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주인공 햄릿은 높은 신분의 사람이다. 얌전히 기다리고 있으면 한 나라의 왕이 될 수 있었고 사랑하는 오필리아와도 행복한 결말을 이룰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런 그가, 남들의 부러움을 만끽하고 남들의 위에 존재하는 그가, 처절하게 죽음으로까지 무너진다는 점에서 <햄릿>은 비극의 전통적 요소를 따르고 있다. 죽음이라는 것은 비극의 극단적인 결말이다. <햄릿>에서는 그 죽음을 그야말로 떠나지 않는다. 주인공 햄릿의 아버지인 선왕의 죽음이 화두가 되고 폴로니어스와 오필리아가 죽더니, 마지막엔 햄릿, 클로디어스, 거트루드, 레어티즈가 사이좋게 다 같이 죽는다.

제3막 제1장에서 햄릿의 대사 “죽는 건, 자는 것, 자는 건 꿈꾸는 것일지도 ― 아, 그게 걸림돌이다. 왜냐하면 죽음의 잠 속에서 무슨 꿈이, 우리가 이 삶의 뒤엉킴을 떨쳤을 때 찾아올지 생각하면, 우린 멈출 수밖에 ―”를 떠올린다면 이 작품 자체에서 얼마나 죽음이 비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모조리 죽어야 했을까? 햄릿에게는 운명이 될 작품의 구조는 처음부터 비극적 분위기를 띄고 있다. 선왕이었던 아버지의 죽음. 그리고 왕이 된 삼촌. 삼촌의 부인이 된 어머니. 처음부터 심상치 않은 구조에서 시작되는 <햄릿>은 아버지는 암살되었으며 그를 죽인 것은 지금의 왕, 삼촌이라는 비밀이 알려지는 제1막에서 햄릿에게 비극을 알려준다. 그리고 햄릿의 의지와는 거리가 있었던 오필리아의 죽음, 어머니인 거트루드의 죽음은 햄릿에게 비극을 더 안겨주지만, 그러나 우리에게까지 비극을 느끼게 해 주기엔 조금 부족한 느낌이 든다. (사실 거트루드의 죽음은 어이없게도 희극적인 느낌까지 든다.) 따지고보면 오필리아의 죽음은 정말 비극적이기는 하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처럼, 운명은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자신에게 열렬하게 구애하던 햄릿은 미쳐서 자기를 욕보이고 자신의 아버지를 찔려 죽였다. 그리고 왕비의 대사 중 그녀의 죽은 모습을 묘사하는 부분은 많은 화가들이 영감을 받아 그림으로 그려낼 정도로 섬뜩하고 비극적이다. 그러나 그런 것들보다 더 비극적인 것은 햄릿이 그들의 죽음에 고귀하게 슬퍼하지 않는다는(혹은 못한다는)것이다.

 

햄릿의 성격상, 아니 햄릿이라는 인물로서 가지는 어떤 숭고함, 고귀함에 기대 본다면 햄릿은 오필리아의 죽음을 알고 책장 한두 장 정도의 분량으로 슬픔과 애절함, 절망감을 표현했을 거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햄릿은 흥분하고 분노한다. 햄릿은 햄릿인 것이다.

광기와 카타르시스

그러고 보면 미친 것은 죽음만큼이나 비극을 살려주는 요소이다. 미쳤다는 것은 심리상의, 혹은 성격상의 장애를 말한다. <햄릿>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가 ‘죽음’과 함께 ‘광기’이다. 제5막 제2장에 보면 햄릿은 레어티즈와 시합에 임하기 전, 이렇게 말한다.

 

 “여보게, 날 용서하게. 내가 잘못했어. 그러나 자네는 신사이니, 용서하게. 내가 정신이상으로 어떻게 벌받는지 여러분이 알고 자네도 필시 들었겠지. 내가 했던 일. 자네의 효성, 명예심, 그리고 반감을 거칠게 일깨웠을 그 일은 광기였음을 여기서 공언하네. 햄릿이 레어티즈에게 잘못해? 햄릿은 절대 아냐. 햄릿이 자기 자신과 분리되어 자기가 아닐 때 레어티즈에게 잘못하면, 그건 햄릿 짓이 아니라고. 햄릿은 그걸 부인하네. 그럼 누가 했지? 그의 광기야. 그렇다면 햄릿은 피해를 입은 쪽에 속한 거지. 그의 광기가 불쌍한 햄릿의 적이야. 자, 여러분 앞에서 내 악행이 의도적이 아니었음을 밝히니 너그러운 마음으로 나를 해방시키고, 내가 지붕 너머 활을 쏘아 내 형제를 다쳤다고 봐주게.”

 

햄릿은 자신이 미쳤음을 공언한다. 미치지 않은 자신과 미친 자신을 나누고 자신이 했던 고귀함, 숭고함과는 거리가 먼 그 행위들을 미친 자신의 행위로, 그리고 그것을 미치지 않은 자신으로써 사과하며 사실은 자신이 가장 피해를 입었다고 말한다. 그것이 햄릿에게는 가장 비극인 것이다. 왜냐하면 햄릿이 자신을 다스리지 못한 그 순간부터, 자신을 둘로 나눈 순간부터 햄릿에게는 파멸의 길이 정해져있게 되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햄릿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의심한다. 그리고 그것이 유령을 만남으로써 확실해지자 그는 복수를 결심한다. 여기서 조금은 햄릿이 처음부터 미쳐있었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어머니의 눈에는 보이지 않고 햄릿의 눈에만 보였던 그 유령을 광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처음부터 햄릿은 미쳐있었고 점점 더 증세가 심해졌다. 그러나 햄릿이 미쳐가는 도중 계속하여 광기와 싸우고 갈등하는 부분들은 전혀 동감할 수 없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아니었기에 무섭다. 감정들의 충돌, 한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오만가지의 감정들이 충돌하고 얽히는 일은 누구에게나 있는 일이다. <햄릿>은 그 감정들을 마치 꿈을 꾸는 것(꿈에서는 순수하다 할 만큼 감정들이 격하게 드러난다.)처럼 보여준다. 꿈에서처럼 참을 수 없이, 너무나도 순수하게 드러나는 감정들과 현실에서의 억제, 타협, 도덕들이 햄릿에게는 무한히 겹치고 충돌하고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햄릿이라는 인물은 모순적이면서도 하나의 뚜렷한 캐릭터로 자리 잡는다. 이 작품이 ‘죽음’이라는 비극적 결말을 끌어내기 위해 사용한 주인공 햄릿의 ‘광기’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공포감과 연민, 그리고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2021.02.20 - [명작 소개] - [희곡] <햄릿>, <민중의 적>, <느릅나무 밑의 욕망>

 

[희곡] <햄릿>, <민중의 적>, <느릅나무 밑의 욕망>

희곡 <햄릿>, <민중의 적>, <느릅나무 밑의 욕망> 공통점과 차이점 작품 주인공 신분 배경 장소 등장 인물 작품을 쓴 시기 갈등 막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왕족 왕궁 19명 외 다수 1600년대 개인 v

categories.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