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64)
[영화] 이누도 잇신,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이창동, <오아시스> 영화에 등장하는 장애의 모습 걷지 못하는 장애를 갖고 있는 쿠미쿠는 스스로를 '조제'라 칭한다. 책을 읽고 책 속의 인물이 되어보는 것. 그것은 쿠미쿠에게 있어 현실로서 도피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쿠미쿠의 할머니는 쿠미쿠를 '조제'라 부르지 않는다. 할머니는 쿠미쿠를 '고장 난 물건'이라 말한다. 현대 사회는 개인의 능력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조제는 많은 책을 읽어 다분한 지식은 있으나 (하지만 이 지식이 진정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인지는 의문이다.) 그녀가 할 수 있는 노동이란 요리뿐이다. 사실 그녀가 갖고 있는 능력이 요리를 하는 것뿐 일리는 없다. 하지만 장애인이라는 편견은 그녀의 상품성을 인정받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들을 점점 도태시키고 다른 사람에게 의존..
[희곡] <햄릿>, <민중의 적>, <느릅나무 밑의 욕망> 희곡 , , 공통점과 차이점 작품 주인공 신분 배경 장소 등장 인물 작품을 쓴 시기 갈등 막 윌리엄 셰익스피어, 왕족 왕궁 19명 외 다수 1600년대 개인 vs 운명 (선) 5막 헨릭 입센, 중산층 집, 마을 11명 외 마을사람들 1870년대 개인 vs 집단 (윤리) 5막 유진 오닐, 농부 집, 농장 5명 외 마을사람들 1920년대 개인 vs 가족 (소유) 3막 공통점 위 세 작품의 공통점은 비극이라는 것이다. 비극이라는 것은 세드엔딩(Sad Ending)이다. 작품을 읽고 나서 미소가 지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무거워지는 것들이다. 또한 작품 속 배경이 안정되지도 않고 아주 혼란스러운 것도 아닌 심상치 않은 시대인 것도 공통점이다. 에서 1막을 보면 유령이 나타나는 등 시대가 혼란스러워질 것을 암시..
[희곡] <병자삼인>, <난파>, <금관의 예수>, <벚꽃동산>, <고도를 기다리며> 조중환, - ‘여성주의’ 찾기 조중환의 은 오랫동안 한국을 지배해 왔던 남성 우월주의, 남존여비 사상에 대해서 화두를 던지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페미니즘적 요소와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러나 그것이 페미니즘인지 반페미니즘인지는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다. 우선 이 작품에 나오는 여자는 총 5명이다. 여교장인 김원경, 여의사인 공소사, 여교사인 이옥자. 이들은 학교라는 매개체로 이어진 지식인 집단이다. 그리고 쌀집의 업동모나 기생집의 설원은 이들과는 대비되는 비지식인 집단이다. 업동모나 설원은 남존여비사상에 어느 정도 입각해있는 여성들이다. 업동모는 남성이 여성보다 낮다는 것을 불안하게 생각하는 여성이다. 그녀는 정필수가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자마자 무시하고 돌아서는데 이것은 단순히 능력이 없기 때문에 ..
[희곡]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등장인물과 시극의 역할 아기장수 용마산 전설 최인훈은 를 읽으면서 어딘가 낯익다는 생각이 들어 곰곰이 기억을 더듬어보니 '아기장수-용마산 전설'이 떠올랐다. 옛날 산 밑에 살던 어느 부부에게 용마가 태어나자, 이 사실이 알려지면 집이 망하고 모두 죽을 것이 두려워 아이를 맷돌로 눌러 죽였다는 비극적인 전설. 최인훈의 는 이 설화에 대한 이야기다. 따라서 그 결말이 비극적일 것임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가난한 부부에게 아이가 태어난다. 때에 맞춰 용마의 울음소리가 들리고 관가의 수색이 이어진다. 용마의 울음소리는 아이의 신통력과 비범성을 나타내며 절대자가 내세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이가 장수임을 알게 된 부모는 관가의 위협으로 아이를 자루로 눌러 죽이게 된다. 아이의 어미는 자살하고, 아비도 죽으..
[희곡] 미하일 불가코프, <조야의 아파트> 에서 아파트가 하는 역할 아파트가 보여주는 사회상 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 무대 배경을 조야의 아파트로 하고 있다. 즉, 공간 배경이 되고 있는 조야의 아파트는 제목이 되어야 할 만큼 작품 내에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공간은 모든 사건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집’이라는 것은 하나의 가정을 지칭하기도 한다. 가정이란 사회를 이루는 최소한의 집단으로 ‘작은 사회’이며 이는 결코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그대로 반영하고 보여주는 집단이다. 그러므로 ‘집’이라는 것은 사회상을 반영하는 공간이며, 동시에 사회상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에서 조야의 아파트도 그 사회상을 보여준다. 사회가 사회주의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서 아파트라는 공간도 그 책임이 달라지게 된다. 한 가정의 보금자리인 ..

반응형